CASA 패러다임(Nass 외 ,1994)
Jul 17, 2023
핵심 요약
인간은 ‘컴퓨터’를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한다.
연구 방법
컴퓨터 사용 경험이 충분한 대학생 180명이 컴퓨터 실험실에 들어가면, 연구자는 그들에게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1. 교육 시간을 진행하고 → 2. 시험 시간을 진행한 뒤 → 3. 평가 시간을 가지며, 마지막으로 각 시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할 것이라고 말했음. 실험에 사용된 컴퓨터는 총 3대로 각각의 목소리가 녹음되어 있었음.
연구 결과
-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공손함’이란 규범을 적용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컴퓨터 A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수행 능력을 평가해달라’고 하면 공손하게 얘기하지만, ‘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다른 컴퓨터 B에 할 때’는 보다 냉철하게 한다는 점을 알아냄.
-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타인’이란 개념을 적용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다른 사람이 칭찬해주는 것은 자기가 자신에게 칭찬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, 우호적’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하고, 피험자는 ‘다른 사람의 비평은 덜 친근하고, 다른 사람의 칭찬은 더 지능적’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냄.
-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무엇을 근거로 ‘존재를 구분’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목소리’를 근거로 ‘존재를 구분’하는 것을 알아냄.
-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성별 고정관념’을 적용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남성의 칭찬이 보다 더 설득력 있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했고, ‘여성이 남성보다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했으며, ‘여자의 칭찬보다 남자의 칭찬이 좋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냄.
-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무엇을 근거로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하는 것은 ‘프로그래머’의 존재를 의식해서가 아닌, 컴퓨터 자체를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해서 임을 알아냄.
본 논문은 ‘인간이 컴퓨터에게 어떠한 사회적 규칙을 적용할 것인가?’에 관한 탐구임. 적용된 사회적 규칙이 있다면, 얼마나 강력한지, 쉽게 생성할 수 있는지, 아니면 드물게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음. 그리고 그 결과 기계가 인간이 아닌 것을 알면서도 ‘인간은 기계에게 사회적 규칙을 적용한다’는 것을 알아냈음.
1. 접근 방식
- 인간의 행동이나 태도에 관한 사회심리학, 사회학적 발견을 선택한다.
- 선택한 사회심리학, 사회화적 발견의 내용 속 ‘인간’이란 단어를 ‘컴퓨터’로 변경한다.
- ‘컴퓨터’에 ‘의인화’ 요소를 추가한다.
- ‘사회적 규칙’이 여전히 적용되는지 알아본다.
2. 연구 방법
컴퓨터 사용 경험이 충분한 대학생 180명이 컴퓨터 실험실에 들어가면, 연구자는 그들에게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1. 교육 시간을 진행하고 → 2. 시험 시간을 진행한 뒤 → 3. 평가 시간을 가지며, 마지막으로 각 시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할 것이라고 말했음. 실험에 사용된 컴퓨터는 총 3대로 각각의 목소리가 녹음되어 있었음.
- 교육 시간
간단한 자기 소개와 함께, 피험자에게 총 25-30개의 토픽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
- 시험 시간
5지 선다로 이뤄진 15개의 문제가 주어짐. 피험자에게는 2,500개의 문제 중 무작위로 15개의 문제를 뽑았다고 말했지만, 사실 모든 피험자는 동일한 15개의 문제를 받음
- 평가 시간
피험자는 1. 교육 시간에 사용했던 컴퓨터의 성능을 평가하게 됨. 평가 후 피험자는 1. 교육 시간 2. 시험 시간 3. 평가 시간에 관한 설문을 진행함
3. 연구 결과
1.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공손함’이란 규범을 적용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컴퓨터 A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수행 능력을 평가해달라’고 하면 좋게 좋게 얘기하지만, ‘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다른 컴퓨터 B에 할 때’는 보다 냉철하게 한다는 점을 알아냄.
- 연구 과정
- 33명의 피험자는 실험 기간 동안 컴퓨터 A만 사용함
- 33명의 피험자는 3. 평가 시간에서 컴퓨터 A에 관한 평가를 다음 3가지 방법 중 1개로 진행함
case 1.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컴퓨터 A에 입력
case 2.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컴퓨터 B에 입력
case 3.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수기로 작성
- 연구 결과
-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공손함’이란 규범을 적용했음.(O)
- 피험자는 case 1일 때, ‘컴퓨터 A에 대한 평가’를 더 ‘친근하고, 유능하다’고 했음
- 단 case 2와 case 3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음
2.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타인’이란 개념을 적용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다른 사람이 칭찬해주는 것은 자기가 자신에게 칭찬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, 우호적’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하고, 피험자는 ‘다른 사람의 비평은 덜 친근하고, 다른 사람의 칭찬은 더 지능적’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냄.
- 연구 과정
- 44명의 피험자는 2by2(같은 목소리, 다른 목소리 / 칭찬 발화, 비판발화)로 설계된 컴퓨터를 사용함
- 자신이 사용한 컴퓨터에 대한 평가는 수기로 작성
case 1. 같은 목소리 / 칭찬 발화
‘같은 목소리’ 피험자는 같은 목소리, 같은 컴퓨터를 사용했고
‘칭찬 발화’ 컴퓨터가 15개 문항 중 12개 문항에서 1. 교육 시간에서 컴퓨터의 수행 능력을 칭찬했음
case 2. 같은 목소리 / 비판 발화
‘같은 목소리’ 피험자는 같은 목소리, 같은 컴퓨터를 사용했고
‘비판 발화’ 컴퓨터가 15개 문항 중 12개 문항에서 1. 교육 시간에서 컴퓨터의 수행 능력을 비판했음
case 3 다른 목소리 / 칭찬 발화
‘다른 목소리’ 피험자는 다른 목소리, 다른 컴퓨터를 사용했고
‘칭찬 발화’ 컴퓨터가 15개 문항 중 12개 문항에서 1. 교육 시간에서 컴퓨터의 수행 능력을 칭찬했음
case 4 다른 목소리 / 비판 발화
‘다른 목소리’ 피험자는 다른 목소리, 다른 컴퓨터를 사용했고
‘비판 발화’ 컴퓨터가 15개 문항 중 12개 문항에서 1. 교육 시간에서 컴퓨터의 수행 능력을 비판했음
- 연구 결과
-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타인’이란 규범을 적용했음.(O)
- 피험자는 case 3,4(다른 목소리)의 컴퓨터는 서로 다른 존재라고 일관되게 응답했음
- 피험자는 ‘다른 사람이 칭찬해주는 것은 자기가 자신에게 칭찬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, 우호적’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함
- 피험자는 case 1(같은 목소리 / 칭찬 발화)일 때 보다 case 3(다른 목소리 / 칭찬 발화)일 때, 더 우호적이고 좋은 평가를 함
- 피험자는 ‘다른 사람의 비평은 덜 친근하고, 다른 사람의 칭찬은 더 지능적’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함
- 피험자는 case 4(다른 목소리 / 비판 발화)를 평가할 때 ‘덜 친근하지만 더 지능적이라고 평가했고, case 3(다른 목소리/ 칭찬 발화)가 case 4(다른 목소리/ 비판 발화)보다 더 유능하다고 평가했음
3.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무엇을 근거로 ‘존재를 구분’하는가?
본 실험은 ‘2.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타인’이란 개념을 적용하는가?’의 연장선이다. 즉 그렇게 생각하는 지점의 범위를 명확하게 알아냄.
- 연구 과정
- 66명의 피험자는 2by2(같은 목소리, 다른 목소리 / 칭찬 발화, 비판발화)로 설계된 컴퓨터를 사용함
- 연구 결과
-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목소리’를 근거로 ‘존재를 구분’했음
- 피험자는 컴퓨터가 같거나, 다른 것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, 다른 목소리는 다른 존재로 구분했고, 같은 목소리는 같은 존재로 인식했음
4.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성별 고정관념’을 적용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남성의 칭찬이 보다 더 설득력 있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했고, ‘여성이 남성보다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했으며, ‘여자의 칭찬보다 남자의 칭찬이 좋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냄.
- 연구 과정
- 48명의 피험자는 24명의 남자, 24명의 요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남성 목소리, 여성 목소리로 설계된 컴퓨터를 사용함
- 연구 결과
-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, ‘성별 고정관념’을 적용했음(O)
- 피험자는 ‘남성의 칭찬이 보다 더 설득력 있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함
- 남자 목소리로 설계된 컴퓨터에 관해 ‘주장이 명확하고, 우세하고, 힘있고, 영향력있고, 파이팅넘친다’고 평가함
- 피험자는 ‘여성이 남성보다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함
- 여성 목소리로 설계된 컴퓨터에 관해 ‘더 정교하고, 넓고,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더 많이 알고있다’고 평가함
- 피험자는 ‘여자의 칭찬보다 남자의 칭찬이 좋다’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함
- 피험자와 컴퓨터의 목소리가 이성적으로 묶인 경우, ‘사랑과 인간관계’에 대한 토픽에 있어, ‘더 많은 정보를 주고, 더 나은, 더 넓은 선택을 하게 해준다’고 응답함
5.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무엇을 근거로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하는가?
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하는 것은 ‘프로그래머’의 존재를 의식해서가 아닌, 컴퓨터 자체를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해서 임을 알아냄.
- 연구 과정
- 33명의 피험자가 2대의 컴퓨터를 사용했고, 33명의 피험자는 1. 교육 시간 2. 시험 시간 3. 평가 시간을 총 2번 경험함
- ‘컴퓨터’ 조건에서는, 연구자와 컴퓨터 모두 컴퓨터를 ‘컴퓨터’라고 불렀고,
- ‘컴퓨터와 나’ 조건에서는, 연구자는 컴퓨터를 ‘컴퓨터’라고 불렀고, 컴퓨터는 스스로를 ‘나’라고 불렀으며,
- ‘프로그래머’ 조건에서는, 연구자는 컴퓨터를 ‘프로그래머’라고 불렀고, 컴퓨터는 스스로를 ‘나’라고 불렀음
- 연구 결과
-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, 컴퓨터를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하는 것은 ‘프로그래머’의 존재를 의식해서가 아닌, 컴퓨터 자체를 ‘사회적 존재로 인식’함
- ‘컴퓨터’ 조건일 때, 피험자는 ‘프로그래머’ 조건일 때보다 ‘더 유능하고, 호감이 가고, 사용하기 쉽다’고 응답함
- ‘컴퓨터와 나’ 조건일 때, 피험자는 ‘프로그래머’ 조건일 때보다 ‘더 긍정적’으로 응답함
- ‘컴퓨터’ 조건과 ‘컴퓨터와 나’ 조건은 별 다른 차이가 없었음
Share article